기본 기능 관련 용어
트위터 사용에 꼭 필요한 공식적이거나 일반적인 용어들입니다.
트윗 (Tweet / 게시물): 트위터에 올리는 140자 내외의 짧은 글이나 미디어 게시물을 말합니다. "지저귀다"라는 뜻에서 유래했습니다.
타임라인 (탐라): 트위터 메인 화면으로, 내가 팔로우하는 사람들의 트윗이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공간입니다.
팔로우 (Follow): 다른 사람의 트윗을 내 타임라인에서 받아보겠다는 의미로, 상대방을 구독하는 것입니다.
팔로잉 (Following): 내가 팔로우하는 계정들입니다.
팔로워 (Followers): 나를 팔로우하는 계정들입니다.
맞팔 (맞팔로우): 서로 팔로우 관계인 것을 의미합니다.
트친: '트위터 친구'의 줄임말입니다.
RT (리트윗 / 재게시): 다른 사람의 트윗을 내 타임라인에 그대로 공유하는 기능입니다.
인용 RT (인용 리트윗): 다른 사람의 트윗을 공유할 때, 그 위에 내 코멘트를 덧붙여서 공유하는 기능입니다.
마음 (하트 / 좋아요): 트윗에 '좋아요'를 누르는 것을 말하며, 하트 모양 아이콘으로 표시됩니다.
멘션 (Mention, @언급): 특정 사용자 아이디 앞에 @ 기호를 붙여 언급하거나 답글을 보내는 기능입니다.
답글 (Reply): 특정 트윗에 대한 응답으로 작성하는 트윗입니다.
DM (디엠 / 직멘): '다이렉트 메시지(Direct Message)'의 줄임말로, 상대방과 1:1로 비공개 대화를 나누는 기능입니다.
해시태그 (#Hashtag): # 기호 뒤에 특정 단어를 써서 해당 주제의 트윗들을 모아볼 수 있게 하는 분류 기능입니다.
블락 (Block): 특정 사용자를 차단하는 기능입니다. 상대방은 내 트윗을 볼 수 없고 나에게 멘션이나 DM을 보낼 수 없습니다.
뮤트 (Mute): 특정 사용자의 트윗이 내 타임라인에 보이지 않도록 숨기는 기능입니다. 차단과는 달리 상대방은 내가 뮤트했다는 사실을 알 수 없습니다.
북마크 (Bookmark): 나중에 다시 보고 싶은 트윗을 개인적으로 저장해두는 기능입니다. 다른 사람에게는 보이지 않습니다.
리스트 (List): 특정 사용자들을 그룹으로 묶어 그들의 트윗만 따로 모아볼 수 있는 기능입니다.
커뮤니티/문화 관련 용어 (줄임말 및 신조어)
트위터 사용자들 사이에서 관습적으로 쓰이는 용어들입니다.
트친소: "트위터 친구 소개"의 줄임말로, 자신의 취향이나 정보를 공유하며 새로운 트친을 구하는 게시물을 뜻합니다.
초멘: "초면 멘션"의 줄임말입니다. 처음 보는 사람에게 멘션을 보낼 때 실례가 되지 않기 위해 앞에 붙여서 사용하기도 합니다.
선팔 / 맞팔 / 무멘팔:
선팔: 먼저 팔로우를 거는 것입니다.
맞팔: 상대방이 팔로우를 수락하거나 서로 팔로우하는 것입니다.
무멘팔: " 무 멘션 팔로우"의 줄임말로, 멘션 없이 조용히 팔로우하는 것을 뜻합니다.
탐라 대청소 (트청): 타임라인을 정리한다는 뜻으로, 주로 불필요한 트윗을 지우거나 팔로우 관계를 정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
입트 / 퇴트: "입장 트위터", "퇴장 트위터"의 줄임말로, 트위터 활동을 시작하거나 마칠 때 쓰는 인사말입니다.
계실: "계정 실수"의 줄임말로, 여러 개의 계정을 가진 사람이 다른 계정에 올릴 내용을 실수로 현재 계정에 올리는 것을 말합니다.
인장 / 헤더 / 바이오:
인장: 프로필 사진(인물 사진)을 뜻합니다.
헤더: 프로필 상단의 배경 사진을 뜻합니다.
바이오: 프로필의 자기소개란(Bio)을 뜻합니다.
본진 / 타돌: 아이돌 팬덤 문화에서 주로 쓰이는 용어로, '본진'은 가장 좋아하는 아이돌 그룹이나 멤버, '타돌'은 다른 아이돌을 뜻합니다.
이 정도 용어들을 알고 계시면 트위터 활동을 시작하시는 데 큰 어려움은 없으실 겁니다. 즐거운 트위터 생활 되시길 바라요